가끔 내 컴퓨터 사양이 어떤지
새 컴퓨터를 알아보려는데 내 컴터랑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볼때 있죠
근데 컴퓨터 관리 설정 에 들어가서 정보를 겨우 확인 하려해도 ....
CPU 나 RAM 정도의 정보 밖에 볼수가 없는데요.. ㅠㅠ
그래서 우리는 프로그램의 힘을 빌려야합니다..!
그것은 CPU-Z!
혹시 정말 간단한 저 두가지만 아시고 싶으시다면
시스탬 속성에 들어가면 되는데요...
요즘 윈도우 11 로 바뀌어서 그런가 10때 부터 그랬던것 같지만...
속성 찾는게 왜그리 어렵던지....
방법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아니 설정 탭 찾는것도 왜이렇게 복잡한거냐고여..!!!! ㅠㅠ
그래서 걍 제가 찾은 젤 빠른 루트 가르쳐 드릴게요...
- 바탕화면 우클릭 -> 개인설정 ( 이게 젤 빨리 설정 탭 여는 방법...)
- 왼쪽 메뉴에서 시스탬 탭 클릭
- 젤 하단 정보 탭 클릭...!
♥ CPU-Z 프로그램 다운로드
CPU-Z 다운로드 사이트
여기서
전 상관없어서 그냥 설치 햇는데
설치 하지 않고 응용프로그램 바로 실행을 하고 싶으시면 (무설치)
zip파일 다운로드 하시면 됩니다!
♥ CPU-Z 프로그램으로 알수 있는것들
- 그래픽 카드 제조사
- 램 용량
- CPU 이름 및 정보
- 그래픽카드 정보
- 윈도우 버전 확인
- 벤치 테스트
♥ 컴퓨터 사양 읽는법
- CPU 부스트 클럭, 코어스피드, 캐시메모리, 코어 및 쓰레드 개수 확인 가능하고 높을 수록, 많을수록 좋다.
- Mainboard 현재 사용중인 컴퓨터의 메인보드 제조사 및 모델명을 알수 있고
그래픽 인터페이스, 메모리 버스 넓이 및 속도를 알수있다.
바이오스 버전 체크를 하여 제조사 홈페이지 최신버전과 다를경우 업데이트해주면 버그가 해결될수도 있다. - Memory 사용중인 메모리 용량과 *DRAM 주파수 및 쿨럭 정보 확인 가능하고 램 이름뒤 숫자 및 주파수가 높을수록 좋다.
- SPD 컴퓨터 각 메모리 슬롯에 꽂혀있는 메모리의 제조사 및 세부정보 확인 가능한데 램의 클럭이 높을수록 더 빠른 성능 낼수 있기 때문 오버클럭을 원하면 램 다이를 확인하고 구매해야한다.램다이 확인은 Part Number 에서 10번째 알바파벳을 보면 된다. (A , B , C) * 오버클럭용으론 보통 B 다이 사용!램 레이턴시 CL (CAS Latency) 는 낮을수록 대기시간이 짧아서 고성능 메모리임을 알수있다.램추가가 가능한지 보려면 슬롯 창 항목이 기존 꽂힌것 외로 선택 가능하면 추가 가능하고 비활성화되면 온보드 메모리라서 추가가 불가능하다. (혹은 작업 관리자에 들어가서 성능- 메모리- 속도 부분을 확인하면 사용된 슬롯 에 총 슬롯과 사용된슬롯을 알수있다.)
- Graphics 컴퓨터의 내장 또는 외장 그래픽 카드에 대한 정보 확인 가능하고 이름에 숫자가 높을수록 성능과 코어속도가 좋습니다. (GPU , Clocks , Memory 항목 중 숫자를 살펴보시면 됩니다)더 자세한 그래픽 상태 , 온도 , 전력소비 등등 알려주는 프로그램은 GPU-Z 를 설치 하면됩니다!
- Bench 벤치 테스트를 할수 있고 CPU 싱글 , 멀티 스레드의 성능을 알수 있고 Bench CPU, stress CPU 버튼 클릭시 벤치 테스트 진행됩니다
벤치 테스트는 Reference에 항목을 선택해서 다른 성능을 가진 스펙을 골라서
Single Thread , Multi Thead 의 내 스펙과 선택한 스펙의 성능차이를 알수 있습니다 - About CPU-Z 버전과 현재 설치된 WIndows 버전을 확인가능.
(제 컴은 노트북이라 일반 데스크톱 정보랑 다를수 있음을 참고해주세요!)
그래서 부분부분 임의로 값을 집어넣음
♥용어 정리
♣ 그래픽 인터페이스란?
메인보드와의 연결 방식을 의미하는데 흔히 알고 있는 GTX 1060 같은 경우 인터페이스가
Pcie3.0 x 16 인데. 이전에는 pci나 agp 슬롯을 사용해서 버전이 올라갈수록 그래픽 데이터 전송속도가 올라가서 게임 성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Ex) Pcie 3.0 은 초당 985Mb 전송속도인데 x 16을 하면 15,760Mb/s
초당 15.75Gb 용량을 전송할수 있다는 의미!
그래서 인터페이스 확인이 성능을 확인하는데 중요합니다!
♣ 메모리 버스란?
그래픽 카드 내부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로를 의미하는데 bit가 높을 수록 데이터 이동이 원활하여 고속도로 개념으로 높을 수록 쾌적한 고속도로라 생각하면 편해요.
메모리 버스의 넓이가 그래픽카드 성능에 중요한 요소인데 넓을수록 메모리에 저장되는 그래픽 데이터들이 원활하게 이동할수 있기 때문. 고속도로 넓이가 넓어서 많은 차들을 수용할수 있다고 생각하면 편해요.
♣ DRAM 이란?
용량이 크고 속도가 빨라 보통 컴퓨터의 메인 메모리로 사용되는 *램(RAM)을 말합니다!
♣ 램(RAM) 이란?
정보를 기록하고 기록해 둔 정보를 읽거나 수정할 수 있는 메모리로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도 없어지기 때문에 '휘발성 메모리'라고도 불립니다. 또 한 컴퓨터의 성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DRAM의 용량이 클수록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DRAM의 속도가 빠를수록 더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고
DRAM의 저장 원리의 핵심에는 커패시터와 트랜지스터가 함께 작동하는 것에 있습니다.
DRAM 은 정보를 저장하는 방인 *셀을 가지고 있습니다.
♣ 셀이란?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본 단위를 말하며 트랜지스터(Transistor)와 커패시터(Capacitor) 각각 1개로 구성되어 1bit를 저장 합니다.
수도꼭지(트랜지스터)를 틀면 데이터가 그릇(커패시터)에 담긴다 비유.
트랜지스터는 전자회로 내에서 전자의 증폭과 스위칭을 담당하는 소자고
커패시터는 전자회로에서 전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장치를 말 합니다.
커패시터에 담긴 데이터를 전하의 유무에 따라
디지털 정보의 기본 단위인 0 (전하 흐르지 않음) 혹은 1(전하 흐름)이라는 정보를 저장하고
이 두 숫자를 판별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커패시터의 전자가 누전되어 데이터를 유지하는 시간이 짧아지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고 셀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리프레시(재생)를 하여 커패시터에 데이터를 재 상기시켜 줘야합니다.
셀이 많을수록 그리고 크기가 작을수록 DRAM의 용량이 커지며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즉 DRAM의 용량과 속도에는 결국 셀의 크기와 속도가 영향을 미칩니다.
♣ DRAM의 종류
메모리 동작 속도를 나타내는 지표(주파수)를 클럭이라고 하는데 초기 DRAM(SDRAM) 은 한 번의 클럭에서 한 번의 데이터 처리를 할 수 있었다
이후 데이터 전송량을 2배 높임으로써 한 번의 클럭에 두 번의 데이터 처리를 할 수 있는 DDR SDRAM이 등장.
• DDR은 Double Data Rate의 약자 고속 메모리 기술로 DDR SDRAM이 등장하고
이후 전송 속도를 높이며 램종류 중 이름이 DDR2-DDR3-DDR4-DDR5 등 보셧죠?
세대를 거듭한 제품이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세대가 높아질수록 클럭당 전송량은 모두 한 번의 신호로 두 번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전송량은 동일하지만 클럭 주파수를 높여 동작 속도를 높여 발전되었습니다!
• 동기식 DRAM이라고 불리는 SDRAM은 메모리 작동을 시스템 클럭과 동기화하여 데이터 전송을 간소화합니다.
조정된 타이밍은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고 데이터 처리량을 빠르게 최적화 시키게 되는것이죠.
메모리 모듈과 컨트롤러 간의 이러한 효율적인 협업은 디바이스 성능을 크게 향상시켜 최신 컴퓨팅 시스템의 필수 요소인 SDRAM을 만듭니다.
• Double Data Rate(DDR) DRAM은 클록 신호의 상승 및 하강 지점 모두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어 효율이 높아집니다.
DDR DRAM의 등장으로 인해 데이터 전송 속도가 SDRAM에 대비하여 두 배가 되고
DDR2,DDR3, DDR4, DDR5와 같은 세대를 거듭할 때마다 메모리 아키텍처가 개선되어 데이터 속도와 전반적인 효율성이 현저 하게 향상되었습니다.
• Graphics Double Data Rate(GDDR) DRAM은 그래픽 집약적인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게 나왔으며
게임 콘솔 및 고성능 컴퓨팅의 그래픽 카드를 구동합니다.
메모리 대역폭을 향상시켜 복잡한 비주얼과 복잡한 시뮬레이션을 원활하게 렌더링 가능하게 합니다
GDDR의 특수 설계는 DRAM 기술의 적응성을 입증하는 증거입니다.
• Low Power Double Data Rate (LPDDR) DRAM은 모바일 장치용으로 설계되어
성능과 에너지 소비 사이의 균형을 맞추어 저전압 작동으로 메모리 속도 저하 없이 전력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과 태블릿에서 에너지 효율이 높은 부품에 대한 수요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LPDDR은 성능 저하 없이 배터리 수명을 향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저도 CPU-Z 를 봐도 무슨내용인지 모르겠고 뭘봐야하는지 헷갈려서 알아보다가
찾아낸 정보를 써보았는데요
보통 메인보드나 주파수 램 용량 그리고 램 종류 그래픽카드 모델 등등
정도를 젤많이 보기 떄문 참고 해보시면 좋을거같습니다..!
조립 피씨를 맞추려고 하시거나 내 컴퓨터 사양을 확인하고 싶을때
활용하기 좋은 CPU-Z 한번 실행해서 알아보세요!!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고 오늘도 당신의 클릭에 미소가 깃들길...
2024/04/14, 1:54 오전
'ㅡ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 저장시 '파일이 없습니다 파일 이름을 확인하고 다시 시도하십시오' 오류 해결법 3가지 진짜 열받네! (0) | 2024.09.05 |
---|---|
바탕화면 폴더 이름 오류 메인폴더 이름 오류 해결법 이런 오류는 왜 나에게만? 2가지 방법 (0) | 2024.09.05 |
혹시 갤럭시 지문인식 4개라서 불편한사람~? 지문개수 늘리기 지문 등록방법 (0) | 2024.08.27 |
사자성어, 4자성어, 한자성어, 고사성어 모음집! 검색은 여기서 (3) | 2024.08.23 |